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sql사이트
- Oracle
- 설치없이쿼리실행
- 쿼리테스트사이트
- 스트림
- 중복컬럼dto매핑
- 오라클쿼리테스트사이트
- port&adapter architecture
- error 2002 (hy000): can'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'/tmp/mysql.sock' (2)
- 쿼리사이트
- dto매핑우선순위
- 쓰기지연저장소
- Stream
- Java
- 쿼리실행사이트
- 쿼리실행순서
- spring kakfa
- 자바
- IntelliJ
- 포트앤어댑터 아키텍처
- Flush
- ls -lgaf
- group by group by rollup 차이
- 쓰기지연sql저장소 쿼리실행순서
- Kafka
- JPA
- hibernate 쿼리실행 순서
- sql 테스트 사이트
- spring cloud stream
- 컬럼명중복
Archives
- Today
- Total
개린이 탈출기
[k8s]@Value 를 통한 baseUrl 값 설정 본문
728x90
반응형
SMALL
baseurl 의 기본값이 배포되는 환경에 맞춰 세팅되도록 하기 위하여 쿠버네티스 환경 별로 nameSpace 에 url 값을 세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.
예를 들어,
Client 레이어의 클래스를 다음과 같이 지정하고
@Service
public class MyClient {
private final RestClient restClient;
public MyClient(
@Value("${myproject.baseurl.server:http://changable-server:100}") String baseUrl
) {
// 하단의 코드는 springframework 에서 제공하는 RestClient 를 통해 RestClient 를 생성하는 로직임
RestClient.builder(baseUrl + "/service1")
// 생략
.build();
}
}
쿠버네티스에 다음과 같이 값을 세팅해둔다. (ArgoCD 사용)
apiVersion: v1
kind: Endpoints
metadata:
annotations:
kubectl.kubernetes.io/last-applied-configuration: >
{"apiVersion":"v1","kind":"Endpoints","metadata":{"annotations":{},"labels":{"argocd.argoproj.io/instance":"my-service"},"name":"changable-server","namespace":"my-service"},"subsets":[{"addresses":[{"ip":"xx.xx.xx.xxx"}],"ports":[{"port":100}]}]}
labels:
argocd.argoproj.io/instance: my-service
name: changable-server
namespace: my-service
resourceVersion: '64083077'
uid: ddddddddddddddddddddd
subsets:
- addresses:
- ip: xx.xx.xx.xxx
ports:
- port: 100
protocol: TCP
프로그램을 실행했을 때, @Value 에 의해서 ${myproject.baseurl.server} 의 값이 지정되지 않았을 때, 기본값으로 http://changable-server:80 를 사용하도록 설정된다.
이 때, 쿠버네티스 클러스트에서 Endpoints 리소스에서 changable-server 라는 이름으로 IP 주소와 포트를 지정해두었기 때문에 쿠버네티스의 DNS 서비스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 changable-server 라는 이름으로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.
조금 단계를 구분하여 본다면 다음과 같다.
- Java에서 http://changable-server:100 경로로 요청이 들어옴.
- changable-server라는 이름을 DNS에서 찾습니다.
- DNS는 Kubernetes의 proxy-service 네임스페이스에서 changable-server 엔드포인트에 해당하는 IP 주소 xx.xx.xx.xxx와 포트 100을 반환합니다.
- Java 코드가 해당 IP와 포트(http://xx.xx.xx.xxx:100)로 접근하게 됩니다.
이 때, 나는 3에서 ip 주소와 포트번호를 모두 반환받으면 결국 http://xx.xx.xx.xxx:100:100 으로 연결되는 는 것이 아닌가 하는 궁금증이 들었었다.
그러나 Kubernetes DNS 는 IP와 포트번호를 제공받아 엔드포인트에서 이미 포트번호가 명시되었기 때문에 위에서 입력했던 포트번호 100은 추가되지는 않는다.
출처 : Chat GPT
728x90
반응형
LIST
'개발 조각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AI 간단 개요 (0) | 2025.03.12 |
---|---|
Apache Kafka, Spring Kakfa, Spring Cloud Stream 의 차이점 (0) | 2025.03.12 |
[Gradle] 라이브러리 의존성 설정 종류 (0) | 2024.11.27 |
[IntelliJ] 빌드 오류 해결.(Language level 변경) (0) | 2024.11.20 |
ci/cid pipeline와 관련된 조각 정보 (1) | 2024.11.07 |